2023년 8월 29일, 국토교통부가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을 발표했고, 이는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. 2024년 2월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앱과 홈페이지에서 K-패스 전환 사전동의가 진행되며, K-패스로 전환 신청 시 카드 재발급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. K-패스 카드의 신규 발급은 2024년 4월 24일부터 가능하며, 5월 1일 이전에 수령한 카드는 회원 가입 후 등록하면 됩니다. 카드를 5월 1일 이후에 수령한 경우 K-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카드 등록을 하면 됩니다. K-패스는 전국의 버스, 전철, 지하철,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에 적용되며 시외(고속,공항)버스, KTX, SRT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 카드사가 요구하는 실적을 채우지 않아도 K패스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, 추가 할인 혜택은 실적을 채우지 못한 경우 받을 수 없는게 특징입니다.
K-패스 특징 및 소개
K-패스는 알뜰교통카드의 기존 시스템을 개선, 적립 방식을 정률 적립 방식으로 변경, 전국확대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개선한 새로운 사업이 도보/자전거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을 정률 적립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.
- 월 15회 이상 이용 시, 월 60회 사용분까지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층 53.3%가 마일리지로 적립되며, 기후동행카드, 동백전 등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업과 달리, 전국의 시내교통수단에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한것이 특징입니다.
- 재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50:50로 분담하며, 서울특별시는 지자체 분담 비율이 60%입니다.
K패스 소개 및 이용방법 안내(feat. 알뜰교통카드, 기후동행카드, 경기패스, 인천패스, K-패스, KPASS) - 요래조래 블로그 (ihaveto.co.kr)
K패스 소개 및 이용방법 안내(feat. 알뜰교통카드, 기후동행카드, 경기패스, 인천패스, K-패스, KPASS
2024년 5월 1일 부터 'K패스'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이 시행됩니다. 기존에도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하여 보행,자전거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방식의 '알뜰교통카드' 사업
ihaveto.co.kr
K-패스 교통카드 및 혜택 총정리
K-패스와 관련된 카드 종류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. 선불형과 후불형 카드에 참여한 기업들과 신규 상품 출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또한,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사용하던 카드들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.
K-패스 교통카드 비교 혜택 총정리 : 최대 53% 환급 - 요래조래 블로그 (ihaveto.co.kr)
K-패스 교통카드 비교 혜택 총정리 : 최대 53% 환급 - 요래조래 블로그
'24년 5월 1일부터 이용 가능한 K-패스 교통카드 발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각 카드사의 혜택을 비교해 보고 추천해 드리며, 본인에게 알맞은 카드사를 선택하시어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
ihaveto.co.kr